[K밴치] 첨단 IT 기술을 만난 미래형 자동차, 과연 미래만의 기술인가?

몬스터게이지 0 7,491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최근 미국 최대의 가전 전시회라 불리는 CES2015에서 자동차와 관련된 몇몇 신기술이 발표됐다.

 

사물 인터넷(IoT)을 이용한 현대차의 새로운 안전 편의 기능, 스마트워치의 화면 터치 한 번에 알아서 주차가 되는 완전한 자동 주차 시스템, 운전자의 통제 없이도 스스로 차량을 제어하는 자율 주행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미래에서나 가능할 것 같던 내용들이 그 자리서 시연됐다.

 

이를 다룬 주요 매체선 이런 기술들을 한데 묶어 다가올 미래에서나 가능할 법하다고 정리했다. 자동차에 접목된 이런 IT 기술들이 과연 먼 미래에서나 있을 법한 내용일까? 지금 세대서도 당장 이용 가능한 기술이 있지 않을까? 글쓴이는 CES2015에서 발표된 내용을 포함해 아래와 같이 나눠봤다.

 

 

■ 자율 주행 자동차? 지금은 '자율'이 빠져 있을 뿐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 CES2015에서 선보인 자율 주행 콘셉트카, 아우디 A7의 실내 구성.

 

이번 CES2015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내용이라면 '자율 주행 자동차'다. 자동차 제작사가 아닌 구글이 운전대가 없는 자율 주행 자동차를 개발해 선보였고 아우디와 메르세데스 벤츠 등의 기존 독일차 브랜드 역시 자율 주행 자동차를 보란 듯이 내놨다. 이걸 보고서 주요 매체들이 미래형 자동차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제목을 붙여 옮겼다.

 

과연 미래만의 기술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니다. 현재 개발된 자동차 기술로는 컴퓨터가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자율적 능력'이 빠져있을 뿐이지, 실제 자율 주행에 적용되고 있는 주요 기능을 이용하는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 ACC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부속 기능 중 하나다.

 

정속으로 주행하다 전방 상황에 따라 속도를 알아서 줄였다 늘리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daptive Cruise Control)', 정지해 있던 앞 차가 출발하면 스스로 차량을 움직이게 하는 '자동 출발 기능(볼보에선 큐 어시스트(Queue Assist)라 부른다)', 심지어 주차장 안의 빈 공간을 찾아 알아서 주차가 되는 '자동 주차 시스템(Self-parking System)'마저도 자율 주행 자동차의 부속 기능으로 프로그래밍돼 있다.

 

기본적으로 이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선 차량 자체에 적외선 감지 센서와 카메라를 비롯한 수많은 임베디드 장치들이 차량 자체에 탑재되어야 하고, 장치로부터 확인된 측정값들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고성능의 AP(Application Processor)들이 장착되어야 한다.

 

 

▲ 테그라 X1로 드라이브 CX와 PX, 자동차의 서라운드 뷰 등을 재현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CES2015에선 엔비디아의 테그라 X1이 발표돼 이목을 끌기도 했다. 차량 내 클러스터로 표시되는 그래픽 비주얼 효과를 바꾼다던지,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을 연결해 차량 주변의 상황을 관찰하는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교통 신호와 표지, 차량, 보행자 등의 주변 사물을 인식해 이를 표시하는 기능, 앞서 말했던 자동 주차 기능들까지도 소화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을 컴퓨터 스스로 종합해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와 연산, 처리 능력을 강화해 만든 차가 바로 자율 주행 자동차다. 그렇다해도 갑작스런 충돌 상황에서의 회피 능력은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판단하는 것보다 느린 부분도 있기 때문에 현재로선 차량 내 갖춰진 편의 기능의 사용 여부를 운전자에게 맡기고 있는 상태라 하겠다. 스스로 판단하는 자율만 빠진 자동차란 의미다.

 

 

 

 

■ 신차에만 있던 첨단 안전 기능, ADAS 장비로 넣을 수 있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 현대차 LF 쏘나타 하이브리드에 구성된 안전사양 중 일부.

 

굳이 CES2015가 아니었더라도 요즘 국내서 출시되는 신차를 보면 각종 안전 기능이 탑재된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전방 차량 추돌 경고 시스템(FCWS)과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AEBS),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DWS), 보행자 충돌 경고 시스템(PCWS), 사각 지대 경고 기능(BSD),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SPAS) 등의 다양한 안전 기능이 포함돼 있다. 이런 기능을 한데 이른 전문 용어론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으로 불린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값 비싼 수입차나 고급 세단에서만 이런 첨단 기능들을 접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현대차 LF 쏘나타나 그랜저 등의 국산 세단에서도 이와 같은 ADAS가 적용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보다 낮은 급의 차량도 일부 ADAS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모빌아이 소개 영상, 어떤 역할을 하는지 영상으로 확인해 보자.

 

그런데 기존에 운행 중인 내 차를 이렇게 지능적인 차량으로 만들 방법은 없을까? 해외선 이미 ADAS를 차량에 아예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든 장비가 널리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 이스라엘의 모빌아이(Mobileye)가 만든 장비는 앞서 열거한 ADAS 기능을 폭넓게 수용하고 있으며, 기준이 까다로운 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국(NHTSA)에서 안전성을 입증받았다. 세계적인 자동차 보험사인 악사(AXA)가 인정할 정도로 두터운 신뢰를 확보하고 있고 국내 운수 업계서도 도입 여부를 검토할 정도다.

 

다만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면 일반 소비자가 감당하기엔 가격이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점이다. 대표 제품인 모빌아이 5시리즈만 해도 849 달러(한화 약 93만 원)다. 국내서 판매 중인 웬만한 최신 플래그쉽 스마트폰의 출고가와 맞먹는 수준이다. 대신에 이보다 낮은 선에서 ADAS 장비를 구할 수는 없을까?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이미 국내선 지난 하반기부터 블랙박스 기반의 ADAS 장비들이 판매되고 있다. 가격대는 모빌아이의 절반 수준인 40~50만 원 안팎이라 구매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런 제품들로는 아이나비의 QXD900 뷰 플러스, 파인뷰 CR-2000 오메가, 유라이브 알바트로스3 골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런 국산 ADAS 장비를 구매하는 것으로 내 차를 어느정도 똑똑하게 만들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차량 안의 증강 현실, 3D 내비게이션과 HUD로 보완한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다른 차량 제작사들이 자율 주행 자동차를 한창 강조하고 있을 즈음, 현대차는 CES2015에서 이런 기술을 다뤘다. 차량과 보행자(V2P), 차량과 사물(V2I), 차량과 차량(V2V) 간의 사물 인터넷과 증강 현실형 헤드업 디스플레이(Augmented reality HUD)를 결합해 기존보다 강화된 ADAS를 선보인 것이다.

 

현대차가 소개한 ADAS는 다음과 같다. 도로 공사 중 경고 시스템(RWWS), 가변 속도 제한 시스템(VSLS), 교통 신호 시간 시스템(SPTS), 보행자 경고 시스템(PWS), 근접 통과 보조 시스템(NPAS), 교차로 이동 보조 시스템(IMAS), 자동 브레이킹 시스템(AEBS) 등이다. 이것만으론 단순히 현대차에 적용되는 ADAS를 강화한 것 밖엔 설명이 되지 않으니 따분하게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주목해야 할 것은 따로 있다. 서로 다른 주행 조건마다 이런 기능들이 실시간으로 HUD로 표시된다는 점이 그렇다.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날씨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거리, 주행 중인 도로의 상황, 신호 대기 시간, 가상의 유도 차선, 교차로 진입 시 주의할 차량들까지 표시해 넣을 정도로 매우 구체적이다. 기존의 HUD와는 차원이 다른 내용이다.

 

 

그런데 이것마저 미래만의 기술로 버무릴 필요가 없다. 최근 ADAS와 증강 현실을 추가한 3D 내비게이션인 '아이나비 X1'이 국내서 출시됐기 때문이다. 항공 촬영 사진을 기반해 3D 렌더링된 건묾을 지도로 정확히 표시하는 것은 물론, 카메라를 연결해 증강현실 길 안내 시스템인 익스트림 AR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체적으로 ADAS가 내장돼 교통 신호와 전방 차량의 진행 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판매 가격은 아이나비 X1 AR 패키지가 84만 9천 원, 드라이브 X 패키지가 88만 9천 원이다.

 

 

그래도 HUD 형태로 된 것이 보기 더 편하다고 판단하는 운전자라면 글쓴이는 나브디(Navdy)라는 HUD 내비게이션을 제안한다. 나브디는 거치대에 올려 쓰는 내비게이션과 차량 대시보드에 고정된 형태의 HUD와는 달리 간편히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운전 중 전화가 오면 간단한 손가락 제스처로 전화를 받거나 끊을 수 있고 음성 인식으로 문자를 보내며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올해 중 미국서 출시될 예정으로 정가는 499 달러, 사전 예약 시 가격은 299 달러다. 

 

 

 

 

 

■ 미러링으로 영화 보기? 그냥 차량에 태블릿 설치하면 끝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 르노삼성 SM5 / SM7 노바에 적용된 스마트 미러링 시스템.

 

장시간 운전을 하는 운전자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쉬면서 DMB를 보던지, 미처 못 봤던 드라마, 혹은 영화를 보는 것으로 여가를 달랜다. 용량이 크면 미리 SD카드나 USB 메모리에 꼭 담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매번 집에서 챙기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아예 최근엔 미러링 기능으로 스마트폰의 화면과 소리를 차량 내 대형 터치스크린과 스피커로 보낼 수 있는 차량도 등장했다. 그 예가 대표적으로 국내 출시된 르노삼성의 SM5 노바다. 대형 세단인 SM7 노바의 스마트 미러링 기능을 중형 세단인 SM5 노바로 가져오게 한 것이다.

 

그럼 기존 차량을 모는 운전자라면 이런 기능을 어떤 방법으로 재현할 수 있을까?

 

 

▲ 이런 차량용 거치대를 이용하면 된다. 제품은 엑소기어의 엑소마운트.

 

방법은 간단하다. 그저 태블릿을 하나 사서 거치대에 올려 놓고 고정해 쓰는 것이 속 편하다. 태블릿 자체에 각종 미디어 파일을 집어 넣고 AUX 단자를 연결해 차량 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하게 만들면 그만이다. 태블릿 자체의 음량을 높이는 것으로도 수긍할 제품들이 많아서 미러링 때문에 특별한 제품을 찾거나 음성 인식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을 고려할 이유가 없다.

 

 

 

 

 

■ 무선 인터넷 되는 커넥티드 카, 지금도 가능한 거 아냐?

 

간혹 차량 제작사 및 개발 업체가 발표한 기술에는 이런 내용도 있었다. 스마트폰으로 차량과 페어링 시켜서 도어 잠금과 열림, 원격 시동까지도 가능한 스마트키의 기능을 대신한다던지, 차량 안의 테더링 기능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비상 상황 시 자동차 자체서 콜센터로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이는 과거 국내서도 소화가 가능했던 내용이다. 2014년 초에 SK텔레콤이 서비스했던 T카(T-car)가 대표적인 예다. T카 베이직은 원격 시동과 도어 락 및 해제 기능, 경음기 작동을 비롯한 스마트키의 기본 기능을, T카 4G LTE는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거리 제한 없이 시동을 켤 수 있었다. 지금은 불법 개조 논란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지금 이런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카쉐어링을 말할 수 있다. 그린카와 쏘카 같은 카쉐어링 업계선 서비스 중인 차종에 관계 없이 회원가입 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카드를 제공하고 있는데, 카드가 없는 상황이라면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도어 잠금 및 해제, 비상등 점등, 경음기 작동 등의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차량 제작사 차원에선 현대차의 경우 블루링크(BlueLink), 기아차는 유보(UVO), 한국GM의 쉐보레는 마이링크(MyLink), 수입차 중 BMW는 국내서 BMW 커넥티드 드라이브(ConnectedDrive) 등이 서비스되고 있다. 모두 텔레매틱스를 기반으로 차량 상태를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비상 시 콜센터 연결까지 가능하게끔 이뤄져 있다. 뉴스와 정보 검색, 이메일 조회를 비롯한 온라인 서비스도 어느정도 가능한 수준이다.

 

단, 거리 제한 없이 차량의 시동을 켜거나 도어 잠금 및 열림과 같은 스마트키 기능은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할 수 없다.

 

 

 

그럼 내 차에 이런 무선 인터넷 환경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 방법으론 와이브로를 언급할 수 있다. KT가 서비스 중인 와이브로 에그의 경우, 한 달 데이터 이용량 별로 10 GB에 1만 1천 원, 20 GB에 2만 2천 원 등으로 매겨 판매 중에 있으며, 통신사로 KT를 이용하고 있다면 이보다 반값 이하 수준의 요금을 내며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와이파이와는 달리 고속으로 이동 중인 상황에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 운전자 없는 자동 주차, 신차로 구매하지 않는 이상은 어려워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차량을 모는 운전자가 제일 힘들어하는 부분이라면 주차다. BMW는 이와 관련해 CES2015에서 자사의 전기차인 BMW i3로 완전한 구조의 자동 주차 시스템을 선보였다.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상태서 스마트워치의 'Park'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기만 하면 알아서 주차장의 빈 자리를 찾고 주차를 시켜버린다. 아우디도 일전에 이런 자동 주차 시스템을 선보였기 때문에 그리 놀랄 내용은 아니다.

 

현실에서도 이미 가능한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어서다. 영상에 나온 것처럼 운전자가 위치한 곳으로 차가 알아서 움직인다던지, 차량에서 완전히 내려 스마트워치의 화면을 터치하는 것으로 자동 주차가 되지는 않지만, 차량 안에서 자동 주차가 되도록 만드는 건 차량 제작사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어서다.

 

 

▲ BMW i3의 자동 주차 시스템. 일부 차종은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된다.

 

현대차는 신형 LF 쏘나타를 비롯해 T자형 주차 및 평행 주차, 출차 기능을 지원하고 있고 닛산은 캐시카이에서 T자형 자동 주차와 평행 주차를, BMW와 폭스바겐,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등의 수입차도 평행 주차 기능을 버튼과 상황에 따라 기어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진행할 수 있다.

 

운전자가 개입해야만 하는 반자동 방식이라는 게 흠이지만 운전자가 직접 운전대를 건드리지 않는 것만으로도 반 이상은 자동 주차 기능이 제 몫을 해낸다. 정작 기능은 갖춰져 있지만 차량 안의 컴퓨터가 하는 주차 실력을 믿을 수 없어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직접 사이드미러와 후방 카메라를 봐가며 주차를 하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 됐지만 말이다. 

 

이 중에는 후방 카메라는 고사하고 주차 센서까지 없어 오로지 자신의 직감을 믿고 주차를 하는 운전자들도 있기는 하지만, 요즘엔 주차 센서 없이는 주차가 버겁다. 요즘엔 주차 센서와 후방 카메라 등의 신차 편의 사양을 차량에다 설치할 수 있도록 애프터마켓 차원에서 설치를 지원하고 있어 이런 부분에선 대체가 가능하다. 자동 주차는 컴퓨터 계산이 필요한 부문이라 차량 제작사 말고는 대신할 방법이 없다.

 

 

 

 

 

■ 펑크 나도 잘 달리는 자동차, 런플랫 타이어면 된다

 

 

 

 

▲ 007 시리즈 중 퀀텀 오브 솔라이스의 자동차 추격씬을 보자.

 

자동차 추격씬이 많은 영화를 보면 이런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007 시리즈 같은 액션 영화를 보면 자동 소총에서 발사된 총알로 차량의 휠타이어가 피탄된 상태인데도 타이어가 멀쩡한 장면을 볼 수 있다.

 

이는 두터운 사이드월로 내구성이 높은 런플랫 타이어를 사용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일반 타이어로는 네 바퀴로 분산되는 차량의 무게를 지행하지 못하고 사이드월이 맥 없이 무너져 차체의 균형이 흐트러지는데, 런플랫 타이어는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다해도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 확보를 위해 일정 거리 동안은 스페어 타이어 교체 없이도 주행이 가능하다.

 

런플랫 타이어의 테스트 및 안전 규정에 따르면,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더라도 80 km/h 이상으로 100 km 내외의 거리를 주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붙어 있다. 통상적으로 스페어 타이어 교체 시 80 km/h 이하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데, 펑크로 스페어 타이어로 교체하거나 응급 치료 키트로 임시 수리를 마칠 시간을 대신해 차라리 가까운 차량 정비소를 찾아가면 된다는 것이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 한국타이어 벤투스 S1 에보2 - 메르세데스 벤츠 C클래스의 런플랫 타이어

 

차량 제작사 차원에서 일부 고급 차종은 UHP 내지 HP 타입의 런플랫 타이어를 차량 출고 시 타이어로 지정해 놓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차 구매를 앞둔 운전자라면 이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 일례로,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는 차량 출고용 런플랫 타이어 공급사로 자국의 컨티넨탈 대신 우리 나라의 한국타이어를 채택해 이목을 끈바 있다.

 

기존의 운전자들은 타이어 펑크로 인한 사고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애프터마켓에서 판매 중인 이런 런플랫타이어를 구매하면 된다. 내구성과 배수성, 주행 타입에 따라 가격도 달라지므로 차량 특성에 어울리는 타이어를 선택해야 한다.

 

 

 

 

 

■ 사각 지대 제로?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도 준비된 상태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운전을 하는 동안 안전 운전을 위협 받는 요소가 있다면 그것은 사각 지대로 보이지 않는 위험이다. 사이드 미러를 보고도 차량 탑승 위치가 높거나 앞뒤 길이가 긴 차종일수록 사각 지대의 범위는 넓어진다. 제 아무리 방어 운전에 능한 운전자라도 옆 차가 갑자기 차선을 넘어 들어오는 사각 지대 사고는 피하기가 힘들다.

 

최근에 출시된 신차들은 사각 지대에 이동 물체가 있음을 알려주는 경보 장치를 달아 사고 예방에 힘쓰고 있다. 보이지 않는 위험을 사전에 경고한다는 의미로 장착되고 있다. 후방 주차 시엔 후방 카메라와 주차 센서가 안전 여부를 알린다해도 운전자의 맨눈으로 보이는 시야 자체가 제한적이다 보니 어느 한 쪽만 신경쓸 수 밖에 없는 제약을 가진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이런 단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개발된 것이 서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SVMS)이다. 비슷한 말로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S)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이드 미러와 전방 및 후방 카메라 등 4채널 이상으로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안전 편의 사양이다. 상급 트림 혹은 고급차로 판매되는 차량에는 이 옵션이 기본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 이미지넥스트의 어라운드 뷰 모니터가 적용된 르노삼성 SM7

 

그렇다면 기존 차량을 모는 운전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이 기능을 이용해 볼 수 있을까? 이 역시 런플랫 타이어처럼 애프터마켓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설치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제품은 계열사인 현대 모비스, 차량 제작사인 르노삼성과 동반해 기술 제휴를 맺고 있는 이미지넥스트의 옴니뷰 360도와 같은 장비를 구매하면 된다. 가격은 설치비를 포함해 79만 원이다. 

 

 

 

 

 

■ 제조사가 알려주지 않는 차량 정보, OBD 모듈로 확인한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요즘 구매할 수 있는 국산차와 수입차에선 기본적인 차량의 주행 누적 거리 말고도 차량에 남은 연료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 주행 거리와 평균 속도, 주행 연비, 타이어 공기압 수치, 냉각수 온도 등의 세부 정보가 차량 계기판 중앙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기존 차량에선 구간 별 주행 거리, 총 누적 주행 거리만 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차량에서도 위와 같은 정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2006년 이후 출시된 차량이라면 퓨즈 박스의 OBD 단자에 연결하는 전용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a85683172e98df2df703aabd6e389a19_1421043

 

 

대표적으로 알려진 OBD 장비라면 몬스터게이지를 언급할 수 있다. 몬스터게이지는 기본적인 연비 정보와 타이어 공기압 말고도 주행 거리에 따른 유류비와 사용한 연료, 배터리 잔량과 충전량, 토크와 마력을 비롯한 차량 성능, 디젤 차량의 경우 DPF로 포집된 배기가스 분진의 양과 DPF 온도 등의 정보를 추가로 표시해 운전자가 올바르게 차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해당 장비가 설치된 차량과 즉각 동기화돼 운전자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이폰용으론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태라서 저가형 중고 스마트폰을 가져다 거치대에 올려놓는 방법으로 이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오픈마켓에서 판매 중인 이 장비의 가격은 16만 8천 원이다. 

 

 

 

출처: http://www.kbench.com/?q=node/144888

Comments

카테고리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